二十四史 (이십사사) | 二十五史 (이십오사)

二十四史(이십사사) | 二十五史(이십오사) |

二十四史(èrshísìshǐ) | 二十五史(èrshíwǔshǐ) |


24사. 지난날 정사(正史)로 일컬어지던 24종의 기전체 역사책. 24사에 신원사(新元史)를 추가하여 25사라고 부른다.


중국 역대 왕들의 연대기인 본기(本紀)와 저명한 개인의 사적(事績)을 기록한 열전(列傳)을 요소로 하여 기전체(紀傳體)에 따른 중국 역대의 역사. 그 밖에 연표(年表)·계보(系譜) 또는 제도를 기록한 지(志, 또는 書) 등을 포함하는 것도 있는데 이것들은 필수 조건은 아니다.

한(漢)나라의 사마 천(司馬遷)이 상고(上古)로부터 한나라 무왕(武王) 때까지 기록한 "사기(史記)"에서 시작되는데, 이하는 단대사(斷代史)로서 1 왕조마다 1 부씩 사서(史書)가 만들어져 반고(班固)의 "전한서(前漢書)", 범엽(范曄)의 "후한서(後漢書)", 진수(陳壽)의 "삼국지(三國志)"를 합하여 사사(四史)라고 부른다.

이후의 왕조에 대해서는 "진서(晉書)", "송서(宋書)", "남제서(南齊書)", "양서(梁書)", "진서(陳書)", "위서(魏書)", "북제서(北齊書)", "주서(周書)", "수서(隋書)", "신당서(新唐書)", "신오대사(新五代史)" 가 만들어졌고, 남송(南宋)시대에 와서 "남사(南史)", "북사(北史)"를 더하여 17사(史)로 총칭되었다.

원(元)나라 말기에 "송사(宋史)", "요사(遼史)", "금사(金史)"가 저술되었고, 명(明)나라 초 "원사(元史)"가 성립되었으므로 이들을 합하여 21사(史), 청(淸)나라 초 만들어진 "명사(明史)"를 합하여 22사라고 하였다. 청나라 왕명성(王鳴盛)의 "17사 상각(商)", 조익(趙翼)의 "22사 차기(箚記)"등의 이름은 여기에 유래한다.

건륭왕(乾隆王)은 이에 더하여 "구당서(舊唐書)"와 "구오대사(舊五代史)"를 내어 24사 로서 궁중의 무영전(武英殿)에서 인행(印行) 하였는데, 합하여 3,243권에 달한다. 민국 초에는 커사오민의 "신원사(新元史)"가 정사로 추가되어 25사가 되었다.

청나라에 대해서는 민국 초에 "청사고(淸史稿)"가 나왔으나 아직 정사로서 권위 있는 "청사(淸史)"는 나와 있지 않다.



序號書名國家作者卷數
01史記(사기)司馬遷130
02漢書(한서)班固100
03後漢書(후한서)南朝宋范曄(범엽)120
04三國志(삼국지,Sānguózhì)陳壽65
05晉書(진서)房玄齡(방현령)·李延壽(이연수)等130
06宋書(송서)南朝梁沈約(심약)100
07南齊書(남제서)南朝梁蕭子顯59
08梁書(양서)姚思廉56
09陳書(진서)姚思廉36
10魏書(위서)北齊魏收114
11北齊書(북제서)李百藥50
12周書(주서)令狐德棻等50
13隋書(수서)魏徵等85
14南史(남사)李延壽80
15北史(북사)李延壽100
16舊唐書(구당서)後晉劉昫等200
17新唐書(신당서)歐陽修、宋祁225
18舊五代史(구오대사)薛居正等150
19新五代史(신오대사)歐陽修74
20宋史(송사)脫脫等496
21遼史(요사)脫脫等116
22金史(금사)脫脫等135
23元史(원사)宋濂等210
24明史(명사)張廷玉等332
相關新元史民國柯劭忞等257
相關清史稿民國赵尔巽等529

No comments:

Post a Comment